728x90 분류 전체보기72 [컴퓨터 그래픽스] 포워드 렌더링 vs 디퍼드 렌더링 포워드 렌더링(Forward Rendering)포워드 렌더링은 기존에 사용하던 전통적인 렌더링 방식으로, Vertex Shader → Rasterizer → Fragment Shader → Output merger 의 파이프라인을 따르는 렌더링 방식이다.2024.11.23 - [컴퓨터 그래픽스] - [컴퓨터 그래픽스] 그래픽 렌더링 파이프라인오브젝트 단위로 라이팅을 처리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실시간 광원이 존재할 경우 성능 부담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실시간 광원에 영향받는 오브젝트가 많아지면 성능 저하가 기하 급수적으로 커진다.씬에 오브젝트가 10개, 라이팅 광원도 10개가 있다면 10 * 10 = 100번의 드로우콜이 발생하게 된다.따라서 실시간 광원을 여러 개 사용하고 싶다면 디퍼드 렌더링이 적합하다.. 2025. 5. 19. [컴퓨터 그래픽스] 드로우콜(Draw Call), 배칭(Batching) 드로우콜(Draw Call)드로우콜이란, 간단히 말해 CPU가 현재 프레임에서 GPU에게 오브젝트를 그리라고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이때 필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메쉬 정보(vertex buffer, index buffer)머터리얼 정보(텍스처, 색상, 쉐이더 변수 등)쉐이더 정보(vertex shader, fragment shader 등)트랜스폼 정보(world transform, viewport transform 등)상태 정보(알파 블렌딩, depth 정보, 스텐실 등 GPU 렌더링 상태)드로우콜 과정텍스쳐, 쉐이더 등 스토리지(HDD, SSD)에 담겨 있는 정보를 로드하여 CPU 메모리(메인 메모리, RAM)에 올린다.CPU가 여기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GPU로 보내기 전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2025. 5. 13. [네트워크] HTTP와 HTTP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정의HTTP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따라 HTML,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리소스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기본적으로 TCP 포트 80번을 사용한다.작동 방식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를 보내고,서버가 응답(Response)을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특징평문 통신 :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고 전송된다. (보안 취약성)즉, 중간에 누군가 통신 내용을 엿보거나 조작할 수 있다.빠르고 가볍지만, 보안에 취약하다. (무결성 문제)서버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능이 없어, 제 3자가 서버로 위장하여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다.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은 Stateless 프로토콜이다.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 2025. 5. 4. [네트워크] TLS Handshake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란?TLS란 인터넷에서의 개인 정보와 데이터 보안을 위해 설계되어 널리 채택된 보안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보안 연결을 설정하는 초기 절차이다. TLS는 SSL(Secure Sockets Layer)이라는 이전의 암호화 프로토콜에서 발전한 형태이다. HTTPS는 HTTP 프로토콜 상위에서 TLS 암호화를 구현한 것으로, HTTPS를 사용하는 웹사이트에서는 TLS 암호화를 사용한다.TLS의 역할암호화 : 제 3자가 통신 내용을 볼 수 없도록 암호화한다.무결성 :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한다.인증 : 서버(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검증한다.TLS HandshakeTLS 연결은 TLS Handshake를 사용한다... 2025. 5. 4.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격리 수준(Transaction Isolation Level)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성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개념으로,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어떻게 방지할지 정하는 기준이다.Locking을 통해 트랜잭션이 DB를 다룰 때 다른 트랜잭션이 관여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하는데, 무작정 locking만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성능을 높이기 위해 locking의 범위를 줄이면 잘못된 값이 처리될 문제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최대한 효율적인 locking 방법이 필요하게 되고, 그 것을 정한 것이 트랜잭션 격리 수준이다.READ UNCOMMITED가장 낮은 수준으로, 커밋되지 않은 다른 트랜잭션의 변경 내용을 읽을 수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 1이 A라는 데이터를 B로 바꾸는 동안, 사용.. 2025. 5. 1.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및 ACID 원칙 트랜잭션(Transaction)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작업 단위를 말한다.예시) 은행 A 계좌에 100만원 입금, 은행 B 계좌에서 30만원 출금 / 사용자가 개인 정보 수정, 게시글 수정만약 각각의 작업이 한 번에 일어나야 하는 상황이면, 두 작업은 같이 성공하거나 같이 실패해야 한다.이처럼 여러 작업을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서 처리하는 것이 트랜잭션이다.ACID 원칙ACID는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4가지 특성을 의미한다.Atomicity (원자성)트랜잭션은 모두 수행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중간 단계에서 오류가 나면 이전에 수행된 작업들도 모두 롤백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Consistency (일관성)트랜잭션의 작업 처리 결과는 항상 일관성 .. 2025. 5. 1. 이전 1 2 3 4 ··· 12 다음 728x90